[소개]
Netwrok File System 약자
네트워크 상에서 연결된 다른 서버의 디스크를 내 서버의 디스크처럼 활용한다.
[실습 내용]
NFS의 디스크를 공유할 서버(마스터) 디스크를 받을 서버(클라이언트) 구성 후 디스크 확인 작업을 실시한다.
[실습 환경]
CentOS 7.x
[실습 구성]
- nfs master 서버
1. hostname : cent1
2. IP : 192.168.25.150
- nfs client 서버
1. hostname : cent2
2. IP : 192.168.25.151
[실습]
1. 공유 할 서버 nfs 패키지 설치 및 실행 (master, client)
#yum -y install nfs-utils
#systemctl start nfs-server (데몬 실행)
#systemctl enable nfs-server (재부팅 후 자동 데몬 실행)
2. 공유 할 디렉터리 생성 및 exports 값 수정 (master)
#mkdir /test
#vi /etc/exports
3. exports 값 설정 (master)
/test *(rw)
- rw : 읽기 쓰기
- * : 전체 허용
- sync : 안정적인 저장
※다양한 옵션 값이 있지만 실습에서 쓰는 옵션 값만 표기
4. exports 수정 값 반영 및 확인 (master)
#exportfs -r
#showmount -e
※showmount 사용 시 clnt_create: RPC: Program not registered 에러
- nfs 데몬을 실행 안했을 경우 발생하는 에러 중 하나
5. 설정 된 공유 디렉터리 마운트 (client)
#mount -t nfs -o sync 192.168.25.150:/test /test
- 192.168.25.150:/test = master 서버 공유 디렉터리 주소
- /test : 마운트 할 디렉터리
6. fstab의 등록 (자동 마운트 시스템)
#vi /etc/fstab
192.168.25.150:/test /test nfs default 0 0
'Linux > RHE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Linux_CentOS] iscsi 구성 및 공유 볼륨 설정 (0) | 2023.07.13 |
---|---|
[Linux_RedHat] Local repository 설정 (0) | 2023.07.10 |
[Linux_CentOS] Disk 삭제 및 재인식 (1) | 2023.04.06 |
[Linux_CentOS] MegaCli Configuration (2) | 2023.02.06 |
[Linux_CentOS] Megacli install (2) | 2023.02.0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