Linux 11

[Linux_RedHat] 네트워크 설정

[소개]RHEL 8 버전의 대한 OS 네트워크 구성 설정 실습을 진행한다. [실습 내용]network-scripts에서 nmcli로 변경된 리눅스 네트워크 설정 구성 실습을 진행한다.  [실습 환경]RHEL 8.8ens192 device 사용 [실습]1. IP 확인 #ip a 2. IP 설정 device 확인 #nmcli device - 실습에서 ens192 device 사용 3. device 상태 확인#nmcli  4. 정확한 device 상태 확인#nmcli dev show  5. device 활성화 #nmcli con up ens192 - nmcli con up device장치명  6. 활성화 된 device 확인 #nmcli con show  7. IP 설정 #nmcli con mod ens192..

Linux/RHEL 2024.01.10

[Linux_CentOS] iscsi 구성 및 공유 볼륨 설정

[소개] IP 기반으로 블록 디바이스를 공유할 때 사용하는 프로토콜 즉, 인터넷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고 보관하는 용도이다. [실습 내용] CentOS에서 iscsi 통한 각 노드 1, 2의 공유 볼륨 설정을 실습한다. [실습 환경] CentOS 7.x [실습 구성] - iscsi master 서버 1. hostname : master 2. IP : 192.168.25.57 - iscsi client 서버 (1) 1. hostname : test1 2. IP : 192.168.25.79 - iscsi client 서버 (2) 1. hostname : test2 2. IP : 192.168.25.80 [실습] 1. iscsi 관련 패키지 설치 (master, client) #yum -y install ta..

Linux/RHEL 2023.07.13

[Linux_RedHat] Local repository 설정

[소개] RHEL 8 버전부터 OS 이미지의 저장소가 AppStream , BaseOS 두개로 나눠진다. 두개의 이미지를 repository 지정하는 실습을 진행한다. [실습 내용] 실습 주 목적은 AppStream , BaseOS 두개의 이미지를 repository 구성한다. [실습 환경] RHEL 9.2 [실습] 1. OS 이미지 마운트 #lsblk or #df -h 확인 가능 2. 이미지 디렉터리 및에 저장소 확인 #cd /run/media/root/RHEL-9-2-0-BaseOS-x86_64 3. OS 이미지 복사 및 확인 #cp -rpH /원하는 디렉터리 /run/media/root/RHEL-9-2-0-BaseOS-x86_64/ 4. yum.repos.d 디렉터리 및 .repo 파일 생성 #cd..

Linux/RHEL 2023.07.10

[Linux_Ubuntu] apache2 및 nginx 포트 변경

[소개] apache : 아파치는 Apache재단에서 만든 HTTP서버이며 웹 서버용 소프트웨어이다. nginx : 트래픽이 많은 웹사이트의 서버(WAS)를 도와주는 비동기 이벤트 기반구조의 경량화 웹 서버 프로그램입니다. 아파치보다 가벼워서 많은 사람들의 사용하는 웹 서버용 소프트웨어 중 하나입니다. [실습 내용] 공통으로 설치 된 apache 및 nginx의 기본 포트는 80번이다. 그러나, 포트 충돌로 인해 하나는 포트를 변경시켜 줘야한다. [실습 환경] Linux : Ubuntu 20.04.4 LTS [실습] 1 - apache 포트 변경 1. Linux 접속 후 apache2 설치 #apt install apache2 2. 설치 후 apache 관련 설정 파일 찾기 #find . -name "a..

Linux/Ubuntu 2023.04.14

[Linux_CentOS] Disk 삭제 및 재인식

[소개] Linux 상에서 전원 내리지 않고 Disk 삭제 및 재인식 명령어를 정리했습니다. [명령어] 우선 #lsscsi로 슬롯 넘버 확인 삭제 : #echo 1 > /sys/class/scsi_device/0:0:1:0(확인한 슬롯넘버)/device/delete 인식 : (디스크 삽입 후 ) #ls /sys/class/scsi_host/ | while read host ; do echo "- - -" > /sys/class/scsi_host/$host/scan ; done ※레드햇 계열, 데비안 계열 동일합니다. - 본 실습은 캡처본 없습니다.

Linux/RHEL 2023.04.06

[Linux_Ubuntu] samba 구성

[소개] samba (Server Message Block) 은 윈도우와 유닉스 운영체제의 자원을 공유할 수 있도록 만든 프로그램이다. [실습 내용] Ubuntu 서버에서 samba 설치 후 파일을 Windows 서버에 공유할 수 있도록 설정해준다. [실습 환경] Ubuntu 20.04 Windows 2016 [실습 구성] - Ubuntu 서버 (master) 1. IP : 192.168.25.10 2. hostname : test 3. 공유 디렉터리 : /test - Windows 서버 (Client) 1. IP : 192.168.25.25 [실습] 1. Ubuntu 서버의 samba 패키지 설치 (master) #apt-get install -y samba 2. samba 계정 설정 (master) ..

Linux/Ubuntu 2023.04.06

[Linux_Ubuntu] ntp 구성 및 동기화

[소개] Netwrok Time Protocol 약자 네트워크 상에서 연결된 다른 서버의 시간을 동기화하는 프로토콜이다. [실습 내용] NTP의 시간을 공유할 서버(마스터) 시간 동기화를 받을 서버(클라이언트) 구성 후 시간 및 동기화 확인 작업을 실시한다. [실습 환경] Ubuntu 20.04 [실습 구성] - ntp master 서버 1. hostname : ubun1 2. IP : 192.168.25.20 - ntp client 서버 1. hostname : ubun2 2. IP : 192.168.25.22 [실습] 1. 각 서버의 ntp 패키지 설치 (master, client) #apt -y install ntp 2. 서버의 /etc/ntp.conf 파일 설정 #vi /etc/ntp.conf r..

Linux/Ubuntu 2023.04.03

[Linux_CentOS] NFS 구성 및 설정

[소개] Netwrok File System 약자 네트워크 상에서 연결된 다른 서버의 디스크를 내 서버의 디스크처럼 활용한다. [실습 내용] NFS의 디스크를 공유할 서버(마스터) 디스크를 받을 서버(클라이언트) 구성 후 디스크 확인 작업을 실시한다. [실습 환경] CentOS 7.x [실습 구성] - nfs master 서버 1. hostname : cent1 2. IP : 192.168.25.150 - nfs client 서버 1. hostname : cent2 2. IP : 192.168.25.151 [실습] 1. 공유 할 서버 nfs 패키지 설치 및 실행 (master, client) #yum -y install nfs-utils #systemctl start nfs-server (데몬 실행) #..

Linux/RHEL 2023.03.06

[Linux_Ubuntu] pacemaker HAproxy Load Balance

[소개] HAproxy는 L4, L7와 같은 하드웨어 로드밸런서를 대체하기 위한 Open Source이다. ※로드밸런싱 : 하나의 서비스에 대한 부하를 여러 대의 서버로 분산시켜주는 서비스 [실습 내용] 서버 이중화 구성 후 로드밸런싱 구성 하나로 쓰고 있는 웹 서비스를 로드밸런서 생성 후 서비스 로드밸런싱 작업 [실습 환경] ubuntu 20.04 Real IP1 : 192.168.25.88 Real IP2 : 192.168.25.89 VIP : 192.168.25.90 [실습] 1. 각 서버의 필요한 패키지 설치 #apt install -y corosync pcs pacemaker haproxy 2. 설치 후 HA 서비스 상태 확인 #pcs status 3. hacluster 패스워드 지정 #pass..

Linux/Ubuntu 2023.02.13

[Linux_CentOS] MegaCli Configuration

[소개] MegaCli는 LSI RAID 컨트롤러에서 정보를 가져오는 데 사용되는 유틸리티 온라인 상에서 RAID 상태 및 RAID를 설정해 줄 수 있게 해주는 프로그램 이제는 Megacli -> Storcli 라고 합니다. [실습 내용] 실습 주 목적은 online 상에서 서버를 다운시키지 않고 디스크 교체 및 RAID 재설정 작업을 실시한다. [실습 환경] CentOS 7.x MegaCli 8-07-14 [실습] 1. MegaCli를 통해 물리적 디스크 ID 확인 #./MegaCli64 -PDList -aALL -a : adapter -PD : Physical Drive 2. MegaCli를 통해 논리적 디스크 ID 확인 #./MegaCli64 -LDinfo -Lall -aALL -LDinfo : L..

Linux/RHEL 2023.02.06