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소개]
samba (Server Message Block) 은 윈도우와 유닉스 운영체제의 자원을 공유할 수 있도록 만든 프로그램이다.
[실습 내용]
Ubuntu 서버에서 samba 설치 후 파일을 Windows 서버에 공유할 수 있도록 설정해준다.
[실습 환경]
Ubuntu 20.04
Windows 2016
[실습 구성]
- Ubuntu 서버 (master)
1. IP : 192.168.25.10
2. hostname : test
3. 공유 디렉터리 : /test
- Windows 서버 (Client)
1. IP : 192.168.25.25
[실습]
1. Ubuntu 서버의 samba 패키지 설치 (master)
#apt-get install -y samba
2. samba 계정 설정 (master)
#smbpasswd -a smb
※-a : 삼바 유저 추가, 리눅스 시스템에 존재하는 계정
-x : 삼바 유저 제거
3. 공유 디렉터리 생성 (master)
#mkdir /test
#chmod 777 /test
4. smb 설정 파일 수정 (master)
#vi /etc/samba/smb.conf
5. smb 설정 파일 수정 (master)
[share]
comment = smb share
path = /test
read only = no
writable = yes
guest ok =no
valid user =user1
create mask = 0777
directory mask = 0777
※설정 파일에는 크게 3가지 구역이 존재 global, printers, home
- global : 삼바 서버 전체 환경설정
- home : 각 사용가 서버의 홈 디렉터리로 접근할 때 권한
- printers : 프린터 관련 권한
※각 설정에 대한 설명
- comment = 공유 디렉터리 설명
- path = 공유 디렉터리 경로
- read only = 공유 디렉터리를 읽기 전용으로 사용
- writable = 공유 디렉터리에 쓰기 가능 설정
- guest ok = 게스트 이용 가능 여부
- valid user = 공유 디렉터리 접근 가능 유저 목록
- create mask = 권한 설정
- directory mask = 공유 디렉터리 권한
6. samba 데몬 재실행 (master)
#systemctl restart smbd
7. windows 서버 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 (client)
- 파일 탐색기 -> 네트워크 우클릭 -> 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
8. Ubuntu 공유 디렉터리 찾기 (client)
- \\192.168.25.10\share (\\리눅스서버IP\smb설정 파일 section이름)
- 마침 후 ID 및 password : 2. 설정된 smb user
9. 접근 후 smb 상태 확인 (master)
#smbstatus
※현재 공유 디렉터리를 쓰고 있는 항목 : 192.168.25.25 (windows서버)
10. windows에서 디렉터리 생성 후 Ubuntu 확인
'Linux > Ubuntu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Linux_Ubuntu] apache2 및 nginx 포트 변경 (0) | 2023.04.14 |
---|---|
[Linux_Ubuntu] ntp 구성 및 동기화 (1) | 2023.04.03 |
[Linux_Ubuntu] pacemaker HAproxy Load Balance (2) | 2023.02.13 |